공기
top
기후 위험관리 시스템

기후 위험관리 시스템

CRMaaS : Climate Risk Management as a Service

다양한 기상, 기후 재해의 위험관리를 위해
날씨 빅데이터 플랫폼의 클라우드 기반으로 제공되는 Kweather 솔루션

  • 폭염
  • 건설
  • 해양/항만
  • ESG
  • CRMaaS 폭염

    실내·외에 설치된 IoT 측정기와 AI 예보 데이터를 기반으로,
    근로자의 건강과 안전을 관리하고 산업안전보건법 대응을 지원하는 스마트 폭염 대응 솔루션입니다.

    폭염 솔루션 필요성

    2025년 6월, 산업안전보건법 개정으로 인해 실내·외 작업
    현장의 폭염 및 체감온도 관리가 의무화

    “폭염 대응, 이제는 법적 필수사항입니다”

    온습도 및 체감온도 측정을 위한 기기 설치 필수

    측정된 체감온도에 따른 조치 사항 기록 및 보관 의무

    관리 부실 시 사업주 책임 강화 및 처벌 가능성 발생

    폭염 솔루션 주요 특장점

    • 실시간 실내·실외
      온열지수 측정
    • 산업별 맞춤
      구성 가능
    • 정확한 AI 분석
      기반 예보
    • 설치부터 관리까지
      One-stop 지원
    • 시각화 중심의
      직관적인 UI
    • 실내∙외 현장별 모니터링 및 관리

      IoT 측정기를 통한 실시간 온도 측정

      전국 및 지역별 폭염 수준 모니터링

      폭염 단계별 행동요령 PUSH 알림

    • 측정 및 예보 데이터로 통합 관리

      AI 분석 기반의 예보 데이터로 사전 대응

      의사결정 지원을 위한 데이터 대시보드 제공

      체감온도 기준 자동 알림 및 대응 가이드 제공

    • 산업안전보건법 대응 지원

      측정 이력 자동 저장

      법적 요청에 맞춘 기록 보관, 리포트 출력

      감사 대응, 보고를 위한 자료 자동화 시스템

    • [실내 폭염 측정망]
    • [실외 폭염 측정망]
  • CRMaaS 건설

    IoT 센서 데이터와 AI 기상예보를 활용해
    건설 현장의 안전사고·공사 지연·시설물 피해를 예방하는 통합 관리 솔루션입니다.

    폭염 솔루션 필요성

    건설 현장은 폭염, 한파, 강풍, 호우, 낙뢰 등 기상 변화와 환경 문제에 민감해 안전사고와 작업 지연 위험이 큽니다.

    • 현장 안전관리

      폭염, 한파, 강풍, 호우 등 실시간 관측 데이터로
      작업 중단 기준을 세우고 자동 경고를 제공

    • 계획 및 일정관리

      기상 예보를 반영해 콘크리트 타설,
      도장, 고소 작업 등 일정을 조정

    • 리스크 대응

      관련 법적 규제에 따른 근거 자료를 확보해
      행정 대응과 책임 리스크 최소화

    • 품질관리

      적정 온도·습도 조건을 유지한 시공으로 품질
      저하를 방지하고 공정의 신뢰도를 높임.

    건설 솔루션 주요 특장점

    • 1

      현장 맞춤형 IoT 기상·환경 장비 설치 및 운영

      작업 위치별 특성과 주요 기상 리스크에 맞춘 장비를 설계하고 배치
      크레인, 콘크리트 타설, 나대지 등 주요 공정에 특화된 모니터링 체계 구축
    • 2

      실시간 관측 데이터 기반 현장 모니터링 및 경고 시스템

      IoT 센서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실시간 분석
      위험 수준 도달 시 즉시 알림 및 대응 가이드 제공, 안전사고 및 공사 지연 최소화
    • 3

      AI 기반 작업별 맞춤형 기상예보 서비스

      기상청 모델과 IoT 데이터를 융합한 AI 예측 모델 적용
      공정 단위별 맞춤형 작업 기상도 제공 → 작업 계획 최적화 지원

    건설 솔루션 주요 구성요소

    1) 현장 맞춤형 IoT 기상·환경 장비 설치 및 운영

    맞춤형 장비 적용 예시

    • 나대지: 기온(폭염), 강수, 미세먼지

    • 콘크리트 작업: 기온, 습도

    • 크레인 작업: 풍속, 돌풍 등

    작업 현장
    설치 장비
    주요 정보
    작업 현장
    설치 장비
    실외공기청정기
    강수량 센서
    흑구센서
    주요 정보
    [나대지]

    나대지 작업장은 직사광선에 노출돼 폭염 관리가
    필요하며, 강수량 센서는 정확한 측정을 위해 장애물이
    없는 평탄한 구역에 설치해야 합니다.

    작업 현장
    설치 장비
    실외공기청정기
    풍향,풍속센서
    흑구센서
    주요 정보
    [고지대(지붕, 크레인)]

    고지대(지붕) 작업장은 그늘이 없어 폭염에 취약하고,
    실신 시 낙상 위험이 커 폭염 관리가 중요합니다.
    또한, 돌풍 대응을 위한 풍향·풍속 센서 설치가 필요합니다.

    작업 현장
    설치 장비
    실외공기청정기
    흑구센서
    주요 정보
    [콘크리트 작업]

    콘크리트 작업 환경은 화학반응에 의한 발열과 복사열로
    인해 기온이 상대적으로 높게 유지되어, 폭염 관리가
    필수적입니다.

    2) 현 AI 기반 건설 현장 예측 모델

    IoT 실측 자료 + 기상청 모델 자료를 융합한 AI 예측 알고리즘

    건설 현장 특성 반영 모델 개발

    기상모델의 물리 기반 역학적 특성 유지

    다변량 학습을 통한 국지적 정확도 향상

    AI 예측 vs 기상청 예보 비교 검증 자료 제공

    3) 기후·환경 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

    수집된 데이터 기반으로 현장별 기후리스크 분석

    시각화 대시보드로 실시간 위험도 확인 및 보고서 자동 생성

  • CRMaaS 해양/항만

    IoT 기반 해양 기상∙환경 관측장비와 AI 해양예보를 통합하여,
    항만의 입출항 선박 안전, 해양사고 예방, 시설물 보호를 지원하는 맞춤형 통합 관리 솔루션입니다.

    해양/항만 솔루션 필요성

    해양·항만 지역은 기상 변화와 대기오염에 취약해 선박 사고, 작업 지연, 환경 문제 발생 위험이 높습니다.

    • 기상정보

      해양·항만은 지리적 특성상 기상 변화에 민감함

      기상 악화 시 선박 사고 발생 위험이 큼

      주요 작업(선박건조 등)에 기상 영향이 큼

    • 대기환경정보

      선박 매연은 항만 대기오염의 주요 원인

      항만 지역의 대기질 저하 문제 지속

      관련 법 제정에 따라 미세먼지 저감 조치 시행 중

    해양/항만 솔루션 주요 특장점

    • 1

      정밀한 실시간 관측

      IoT 기반 관측장비로 기상 및 대기환경 요소 실시간 모니터링
      국지적 특성을 반영한 고정밀 현장 데이터 확보
    • 2

      맞춤형 예보 서비스

      전담 예보관이 제공하는 해양·항만 특화 기상·미세먼지 예보
      파고, 시정 등 항만 작업에 최적화된 예측 정보 제공
    • 3

      다채널 알림 시스템

      웹, 카카오톡, SMS 등 다양한 방식의 상황 정보 전달
      위험 상황에 대한 신속한 알림으로 선제 대응 가능

    해양/항만 솔루션 구성 요소

    관측 서비스

    [자동기상관측장비(AWS)]

    기온, 강수량, 풍향·풍속, 습도,
    시정 등 기상 요소 관측

    [실외공기질측정기(OAQ)]

    PM10, PM2.5, CO, NO2, SO2
    O3 등 대기환경 요소 측정

    [국가 및 민간 관측 데이터]

    기온, 강수량, 풍향·풍속, 습도,
    시정 등 기상 요소 관측

    예보 서비스

    [기상예보]

    기온, 강수량, 풍향·풍속, 파고, 시정 등
    1시간 단위부터 일별 예보까지 제공

    [미세먼지 예보]

    미세, 초미세먼지 예측 1시간
    단위 ~ 일별 단위 예보 제공

    [전담 예보관 운영]

    전담 예보관 운영을 통한 전문성과
    신뢰성 확보

    통합 시스템 (모니터링 · 분석 · 알림)
    • [모니터링]

      관측 데이터를 활용한 해양·항만 현장
      실시간 모니터링

    • [분석]

      축적된 데이터 기반의 통계 분석 기능 제공
      → 운영 최적화

    • [알림]

      웹, SMS, 카카오톡 등 다양한 채널을
      통한 상황 전달 및 대응 유도

  • CRMaaS ESG

    탄소배출, 에너지 사용 등 ESG 공시 항목을 자동 수집하고
    AI 기반 분석으로 리포트 작성과 리스크 대응 전략 수립을 지원하는 ESG 대응 통합 관리 솔루션입니다.

    ESG 솔루션 필요성

    ESG 기후 리스크는 기업의 재무·운영 리스크와 직결되며, 글로벌 공시 의무화에 대응하기 위해 체계적 관리가 필수입니다.

    • 기후 재해의 피해 규모 급증

      자연재해로 인한 재산 피해액은 1960년대 1조 2,421억 원 → 2000년대 20조원이상으로 급증
    • 글로벌 기후공시 의무화 흐름

      유럽연합(EU): 2024 회계연도부터 CSRD 도입 → EU 본사는 물론, 자회사를 둔 글로벌 기업까지 공시 의무 확대
      미국(SEC): 2024년 3월 ‘기후공시 의무화 규칙’ 승인 → 미국 상장 외국기업도 적용 대상 (예: 포스코, 신한금융지주, KT 등 뉴욕증시 상장 한국기업 포함)
    • 국내 ESG 공시 제도화 추진

      금융 감독원 중심으로 기후리스크 관리 지침 발표
      ESG 공시 의무화: 2026년부터 단계적 도입 예정 → 사전 준비 필요성 대두

    ESG 솔루션 주요 특장점

    • 1국내 최초 기후 리스크 통합 분석

      물리적 리스크와 전환 리스크를 함께
      분석하는 국내 최초 솔루션

      기업의 상시적 기후 리스크 진단 및 대응 가능

    • 2기업 맞춤형 예측 데이터 제공

      기상재해에 따른 자산·영업 손실 예측

      업종별 특성을 반영한 물리적 리스크 맞춤
      관리 지원

    • 3기업 공급망(Scope 3)까지 기후
      리스크 확대 분석

      Scope1(직접배출), Scope2(간접배출),
      Scope3까지 포함한 '전환 리스크'분석

    • 4과학적인 국내외 표준 데이터 사용

      세계기상기구(IPCC)6차 보고서에 채택된
      공통사회경제경로(SSP) 기후변화 시나리오
      자료 활용

    ESG 솔루션 구성 요소

    • [물리적 리스크: 기후 변화에 따른 이상 기후 증가로 인한 물리적 피해]

    • [전환 리스크: 기후 변화 완화를 위한 활동에서 발생하는 위험]

    • 기업의 물리적 리스크와 전환 리스크 통합 관리